자주 참고하는 사이트
IT위키 ;
양햄찌가 만드는 세상 : 설명이 잘되어있어 이해하기 수월함.
21. 다음 중 1시간 주기로 실행되는 crontab 설정으로 알맞은 것은?
① 1 * * * * /etc/joon.sh
② * 1 * * * /etc/joon.sh
③ * * 1 * * /etc/joon.sh
④ * * * 1 * /etc/joon.sh
정답 : ① 1 * * * * /etc/joon.sh
분 시간 일 월 요일 실행명령 의 형식
22. 다음 그림의 결과에서 lin 사용자가 /project 디렉터리에 파일을 생성했을 경우에 해당 파일의 그룹 소유권과 관련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① 파일의 그룹 소유권은 아이디와 동일한 lin이 된다.
② 파일의 그룹 소유권은 주 그룹인 kait가 된다.
③ 파일의 그룹 소유권은 2차 그룹인 project가 된다.
④ lin 사용자는 주 그룹을 project로 전환해야만 접근이 가능하므로 파일을 생성할 수 없다.
정답 : ③ 파일의 그룹 소유권은 2차 그룹인 project가 된다.
참고 ▶
23.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① ldd
② blkid
③ ldconfig
④ ld.so.conf
정답 : ① ldd
- ldd : 실행파일에 의존되는 라이브러리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
- blkid :
- ldconfig :
- ld.so.conf : 라이브러리 설정파일.
참고 ▶
24. 다음 중 다수의 텍스트 파일이 10MB 정도로 묶여있는 tar 파일을 압축하려고 할 때 가장 압축률이 좋은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① xz
② gzip
③ bzip2
④ compress
정답 : ① xz
xz(.xz) > bzip2(.bz2) > gzip(.gz) > zip(.zip) > compress(.Z)
xz가 압축률 가장 좋고 compress가 가장 안좋음
25. rpm 파일을 설치하기 전에 어떠한 파일들이 설치 되는지 미리 확인해보려고 한다.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 rpm ( 괄호 ) totem-2.28.6-2.el6.i686.rpm |
① -qlf
② -qlr
③ -qlc
④ -qlp
정답 : ④ -qlp
참고 ▶
26. 다음에 제시된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높이려고 한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 ( ㉠ ) ( ㉡ ) bash |
① ㉠ nice ㉡ -10
② ㉠ nice ㉡ --10
③ ㉠ renice ㉡ -10
④ ㉠ renice ㉡ --10
정답 : ② ㉠ nice ㉡ --10
nice -[숫자] 프로세스명
renice [숫자] PID
현재 우선순위 값(NI)에 숫자만큼 더해 우선순위를 변경.
우선순위 값은 -20~19까지 설정 가능하며 값이 낮을 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짐.
참고 ▶ [리눅스/Linux] NICE와 RENICE 알아보자~! 프로세스 우선순위 변경하고 확인하는 명령어. PRI vs NI?
27. 다음 중 root 사용자가 lin 사용자의 예약된 cron 작업을 제거하는 명령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crontab -d -u lin
② crontab -e -u lin
③ crontab -r -u lin
④ crontab -x –u lin
정답 : ③ crontab -r -u lin
-e : crontab 내용 작성 또는 수정
28. 사용자 디스크 용량을 제한하기 위해 쿼터를 설정 하려고 한다. 다음 중 /etc/fstab에 설정해야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① 4번째 필드에 usrquota라는 옵션을 추가한다.
② 4번째 필드에 userquota라는 옵션을 추가한다.
③ 5번째 필드에 usrquota라는 옵션을 추가한다.
④ 5번째 필드에 userquota라는 옵션을 추가한다.
정답 : ① 4번째 필드에 usrquota라는 옵션을 추가한다.
/etc/fstab 각 필드 항목
[파일 시스템 장치명] [마운트 포인트] [파일 시스템 종류] [옵션] [dump관련 설정] [파일 점검 옵션]
참고 ▶ 리눅스 /etc/fstab 설정
29. 다음 그림과 같이 파일 및 디렉터리가 생성된다. umask 명령을 실행했을 경우에 출력되는 값으로 알맞은 것은?
① 7000
② 0700
③ 0007
④ 0077
정답 : ④ 0077
umask는 파일 생성 시 기본 권한 설정을 위한 명령.
umask 명령 결과는 최대권한(파일은 0666, 디렉토리는 0777)에서 각 파일의 권한을 뺀 값.
위의 경우 권한을 숫자로 나타내면 파일은 0600, 디렉토리는 0700이라고 보면 되고
umask 명령어를 실행하면 0777-0700 이 되므로 0077이 umask 값.
참고 ▶ [리눅스]기본 허가권, 퍼미션 지정(제어, 설정)하기(umask와 작동 원리)
30. 다음 중 특정 사용자가 자신이 속한 주(Primary) 그룹을 다른 그룹으로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① groupmod
② gpasswd
③ newgrp
④ groups
정답 : ③ newgrp
- groupmod : 그룹명 또는 GID 변경 시 사용
- gpasswd : 그룹 패스워드 관련 설정 또는 관리자 지정
- groups [사용자명/그룹명] : 사용자가 속한 그룹 확인 또는 그룹에 속한 사용자 확인.
참고 ▶ 4. Linux 기본 명령어(그룹관련 groupadd, gpasswd, nwegrp, groupmod, groupdel)
31. 다음 명령의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 passwd -d lin |
① lin 사용자는 패스워드 입력 없이 로그인이 가능하다.
② lin 사용자는 다음 로그인 시에 반드시 패스워드를 변경해야 한다.
③ lin 사용자는 패스워드에 잠금이 설정되어서 일시적으로 로그인이 불가하다.
④ lin 사용자는 패스워드가 삭제되어서 관리자가 패스워드를 설정할 때까지 로그인이 불가하다.
정답 : ① lin 사용자는 패스워드 입력 없이 로그인이 가능하다.
32. 다음 설명과 관련 있는 파일명으로 알맞은 것은?
사용자를 추가할 때에 2020년 12월 31일까지만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지정하려고 한다. |
① /etc/skel
② /etc/passwd
③ /etc/login.defs
④ /etc/default/useradd
정답 : ④ /etc/default/useradd
/etc/skel : 새로운 계정 생성 시 /etc/skel 디렉토리 내용이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에 복사됨.
/etc/passwd : 사용자 계정 정보, 패스워드, 사용 쉘 및 홈디렉토리 정보
/etc/login.defs : 패스워드 정책 설정 등
/etc/default/useradd : 계정 만료기간 등
33. 다음 중 yum을 이용해서 telnet이라는 문자열이 들어있는 패키지를 검색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① yum -f telnet
② yum search telnet
③ yum -search telnet
④ yum --search telnet
정답 : ② yum search telnet
34. 다음 중 시그널이름과 번호를 확인할 수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① kill -l
② killall -l
③ pkill -l
④ pgrep -l
정답 : ① kill -l
killall [프로세스명] : 특정 프로세스를 한번에 죽이는 명령
pkill [프로세스명] : kill은 pid로 프로세스를 죽이지만 pkill은 프로세스명으로 죽이기 가능
pgrep [프로세스명] : 프로세스의 pid를 출력하는 명령
35. 다음 중 백그라운드로 수행 중인 작업번호가 2인 프로세스를 포어그라운드로 전환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① fg -2
② fg &2
③ fg %2
④ fg -n 2
정답 : ③ fg %2
36. 다음 중 ihd라는 그룹명을 kait로 변경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① groupmod -n ihd kait
② groupmod -n kait ihd
③ groupmod -N ihd kait
④ groupmod -N kait ihd
정답 : ② groupmod -n kait ihd
37.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① w
② who
③ users
④ whoami
정답 : ① w
w : 서버의 간단한 정보와 사용자들의 정보.
who : 현재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 정보.
users : 현재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사용자명.
whoami : 나의 사용자명.
참고 ▶ [Linux] 리눅스 접속 사용자 확인 명령어 비교
38.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① du
② df
③ quota
④ repquota
정답 : ② df
du : 파일 공간 사용량 측정
quota : 사용자 쿼터 정보
requota : 시스템에 설정된 쿼터 정보
참고 ▶ 유닉스 명령어 목록
[리눅스/Linux] 쿼터2탄 - quotacheck, edquota, repquota, quota 등 디스크 쿼터 관련 명령어 살펴보기
39. 다음 중 10줄이 기록된 텍스트 파일인 lin.txt 파일 에서 4번째부터 7번째 줄까지 출력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① head -7 lin.txt | tail -3
② head -7 lin.txt | tail -4
③ tail -10 lin.txt | head -3
④ tail -10 lin.txt | head –4
정답 : ② head -7 lin.txt | tail -4
head -[숫자]: 파일의 첫행부터 [숫자]행까지 출력
tail -[숫자]: 파일의 마지막 [숫자]개 행 출력
옵션이 없는 경우 10개행 출력
40. 다음 명령의 실행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 gcc lin.c |
① lin.o라는 오브젝트 파일이 생성된다.
② lin이라는 오브젝트 파일이 생성된다.
③ lin이라는 실행 파일이 생성된다.
④ a.out라는 실행 파일이 생성된다.
정답 : ④ a.out라는 실행 파일이 생성된다.
참고 ▶ [펌] gcc 명령어
41. 다음 중 커널 컴파일의 작업 내용과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① 커널 컴파일 옵션 설정 작업 : make mrproper
② 커널 소스의 설정 값 초기화 : make menuconfig
③ 커널 모듈 생성을 위한 컴파일 작업 : make modules
④ 커널 모듈 파일 복사 및 grub.conf 파일 수정 작업 : make modules_install
정답 : ③ 커널 모듈 생성을 위한 컴파일 작업 : make modules
make mrproper : 커널 설정 초기화
make menuconfig : 커널 환경 설정
make modules_install : 커널 모듈 파일 복사
참고 ▶ 리눅스 커널 컴파일
42. 특정 모듈을 제거하면서 의존성있는 모듈을 같이 제거하려고 할 때 ( 괄호 ) 안에 들어갈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 modprobe ( 괄호 ) ip6table_filter |
① -a
② -d
③ -e
④ -r
정답 : ④ -r
참고 ▶ 리눅스 modprobe
43. 새로운 디스크를 인식하려고 한다. 다음 중 디스크 인식 여부를 확인하는 명령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mount
② fdisk -l
③ cat /etc/fstab
④ cat /etc/mtab
정답 : ② fdisk -l
mount : 하드웨어 장치를 특정 위치에 연결
/etc/fstab :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할 대상을 정의하는 시스템 기본 설정파일
/etc/mtab : 현재 마운트 된 정보
44. 다음 중 모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모듈 관련 명령어로는 lsmod, insmod, rmmod가 있다.
② 모듈이 커널에 내장되는 방식을 모놀리식 방식 이라고 한다.
③ 리눅스 모듈의 경우 C컴파일러로 만들어진 ‘*.ko’ 파일 형태이다.
④ 사용 가능한 모듈은 /lib/modules/커널버전 /kernel 디렉터리 안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정답 : ② 모듈이 커널에 내장되는 방식을 모놀리식 방식 이라고 한다.
모놀리식 : 커널이 시스템을 제어하는 기능을 내장하고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
모듈은 모놀리식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 여러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커널 외부에 별도로 가지고 있는 것.
참고 ▶ [리눅스] 모듈의 관리와 설정파일
45. 다음 중 커널 컴파일을 하기 위한 과정으로 틀린 것은?
① 커널 컴파일 전, 후 총 2번의 리부팅이 필요하다.
② 리눅스 커널 버전의 소스를 /usr/src/kernels에 다운로드 하여야 한다.
③ 어셈블러, GCC, make 유틸리티 등 개발 도구가 사전에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④ 커널 초기화 시 ‘make clean’ 명령을 이용하면 .config파일을 삭제 하지 않고 초기화 할 수 있다.
46. 새로운 디스크 추가 할당하고 리부팅을 하였으나 해당 디스크가 mount 되어 있지 않았다. 다음 중 리부팅 후에도 자동으로 mount되도록 설정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① /etc/fstab
② /etc/groups
③ /etc/exports
④ /proc/partitions
정답 : ① /etc/fstab
/etc/groups : 사용자 그룹 정보
/etc/exports : NFS(Network File System) 서버 설정 파일
/proc/partitions : 현재 시스템의 파티션 정보
참고 ▼
/proc 디렉토리 정보 : /proc 파일 시스템에 대하여.
47. 다음 중 프린트 작업의 ‘Request-ID’를 확인 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① lp
② lpc
③ lpstat
④ cancel
정답 : ③ lpstat
lp : 인쇄명령
lpc : 프린터나 프린터 큐 제어
cancel : 프린트 작업 취소
참고 ▶ 주변장치 관리 - 주변 장치 설정 (디스크 확장, 프린터, 사운드 카드, 스캐너)
48. 다음 중 자동 문서 공급 장치가 장착된 스캐너에서 스캔할 때 사용 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① xcam
② scanadf
③ scanimage
④ sane-find-scanner
정답 : ② scanadf
xcam : GUI 기반으로 평판 스캐너나 카메라로부터 이미지를 스캔해주는 명령
scanimage : 이미지 스캔
sane-find-scanner : USB 및 SCSI 스캐너와 관련 장치 파일을 찾아주는 명령
참고 ▶ 주변장치 관리 - 주변 장치 설정 (디스크 확장, 프린터, 사운드 카드, 스캐너)
49. 다음 중 CUPS 프린팅 시스템의 특징으로 알맞은 것은?
① 설정 정보는 /etc/printcap파일에 저장된다.
② BSD계열 유닉스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③ 로컬에 직접 연결한 프린터를 네트워크 프린터처럼 설정이 가능하다.
④ 초기에는 printconf, printtool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설정을 하였다.
정답 : ③ 로컬에 직접 연결한 프린터를 네트워크 프린터처럼 설정이 가능하다.
50. 다음 중 uname 명령을 이용하여 커널 버전을 확인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① -n
② -o
③ -r
④ -s
정답 : ③ -r
-n : 네트워크 호스트 이름 출력
-o : 운영체제 이름 출력
-r : 커널 릴리즈 정보 출력
-s : 커널 이름 출력
참고 ▶ [Linux] uname 명령어에 대한 설명
5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백업 도구의 옵션과 의미로 틀린 것은?
장치 파일이나 네트워크 파일 등의 특수 파일도 백업이 가능하고 백업본의 크기도 작고, 백업본에 손상된 부분이 있더라도 손상된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을 복구 한다. 아울러, 기존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백업을 진행 하므로 다양한 조건을 활용하여 백업이 가능하다. |
① -t : 내용만 확인할 때 사용한다.(--list)
② -b : 증분 백업으로 백업할 때 사용한다. (--incremental)
③ -d : 필요한 경우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make-directories)
④ -i : 표준입력으로 백업한 자료를 불러올 때 사용한다.(--extract)
정답 : ② -b : 증분 백업으로 백업할 때 사용한다. (--incremental)
cpio(copy input to output)에 대한 설명이고 cpio는 증분 백업을 지원하지 않음.
52. 다음 설명과 관련된 파일시스템 보안에 관한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 setfacl ‐R ‐m g:docker:rwx docker/ |
① ext2부터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파일권한 외 13가지 속성을 제어한다.
②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접근 권한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든 시스템이다.
③ 설명은 docker 디렉터리에 대한 접근 권한 리스트를 확인하는 명령이다.
④ 사용자를 인증하고 그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모듈화된 방법이다.
정답 : ②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접근 권한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든 시스템이다.
setfacl : ACL(Access Control List, 접근제어목록) 설정 명령어.
접근제어목록은 파일 시스템의 속성으로 부여되므로 ext1, ext2 같은 이전의 파일시스템에서는 사용 불가
-m 옵션은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ACL을 추가 또는 변경.
53. 다음 중 리눅스 주요 보안 도구와 기능 설명에 대해 알맞은 것은?
① nmap : 모든 파일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파일의 변조 여부를 검사한다.
② nessus : 운영 중인 서버에 불필요하게 작동 하고 있는 서비스 포트를 확인할 수 있다.
③ tripwire : 서버의 보안 취약점을 검사해주는 도구로 문제가 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④ tcpdump : 조건식을 설정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거치는 패킷 헤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정답 : ④ tcpdump : 조건식을 설정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거치는 패킷 헤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nmap : 네트워크 탐지 및 보안 스캐너. 시스템의 서비스 중인 포트를 스캔하여 관련 정보 출력
nessus : 서버의 보안 취약점 검사 도구. 문제가 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관련 사이트나 대처 방안 제시
tripwire : 파일 변조 여부 검사 도구(무결서 검사 도구). 모든 파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이 정보를 통해 파일 변조 여부 검사.
tcpdump : 명령행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 도구.
54. 다음 중 SSH(Secure Shell)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패킷을 암호화하여 telnet이나 rlogin에 비해 안전하다.
② ssh-keygen을 이용하면 인증키를 이용한 접속이 가능하다.
③ 기본 설정 포트는 22번이며 원격 셸, scp, sftp기능을 지원한다.
④ ssh2는 ssh1을 개선한 것으로 하위호환성을 완벽하게 지원한다.
정답 : ④ ssh2는 ssh1을 개선한 것으로 하위호환성을 완벽하게 지원한다.
55. 다음은 /var/log/xferlog 파일의 구성에 관한 설명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전송된 지시를 나타내는 영역은 ( ㉠ ) 이다. 사용자가 어떤 형태로 login 했는지를 나타내는 영역은 ( ㉡ )이다. special-action-flag 영역에서 ( ㉢ )은 어떠한 action도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뜻한다. |
① ㉠ direction ㉡ access-mode ㉢ _
② ㉠ direction ㉡ completion-status ㉢ !
③ ㉠ transfer-type ㉡ access-mode ㉢ !
④ ㉠ transfer-type ㉡ completion-status ㉢ _
정답 : ① ㉠ direction ㉡ access-mode ㉢ _
5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로그 관련 주요 파일로 알맞은 것은?
콘솔, telnet, ftp 등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 기록, 시스템을 재부팅한 기록 등의 로그가 쌓이는 파일이다. 바이너리 파일로 last라는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다. |
① /var/log/btmp
② /var/log/wtmp
③ /var/log/lastlog
④ /var/log/messages
정답 : ② /var/log/wtmp
/var/log/btmp : 5번 이상 로그인에 실패했을 경우 로그인 실패 정보 기록. lastb 명령어로 확인 가능
/var/log/wtmp : 성공한 로그인, 로그아웃 정보. last 명령어
/var/log/lastlog : 사용자별로 가장 마지막에 로그인한 시간과 접속IP, tty 정보.
/var/log/messages : 시스템 표준 에러 관련 메시지 기록.
57. 다음 중 sudo에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특정 사용자 또는 특정 그룹에 root 사용자 권한을 가질 수 있게 하는 도구이다.
② visudo는 환경설정파일을 편집할 때 사용하는 명령이다.
③ 적용된 사용자는 ‘sudo 명령어’ 형태로 실행하며 root 권한을 대행한다.
④ 환경설정파일은 /etc/sudo 이다.
정답 : ④ 환경설정파일은 /etc/sudo 이다.
환경설정파일은 /etc/sudoers
58. 다음 중 dmesg 명령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① 커널 변수의 값을 제어하여 시스템을 최적화 할 수 있는 명령이다.
② 커널링버퍼(kernel ring buffer)의 내용을 출 력하고 제어하는 명령이다.
③ /var/log/dmesg 파일에 기록된 환경 변수 설 정 값을 출력하는 명령이다.
④ 커널 부트 메시지 로그를 보여주는 명령으로 실행 시 /var/log/dmesg 에 기록된다.
정답 : ② 커널링버퍼(kernel ring buffer)의 내용을 출 력하고 제어하는 명령이다.
5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파일 시스템 전체를 백업할 때 사용하는 유틸리티로 보통 파티션 단위로 백업할 때 사용한다. 전체 백업과 증분 백업을 지원하고, 0~9 단계의 레벨을 가지고 증분 백업을 지원한다. |
① dd
② cpio
③ dump
④ rsync
정답 : ③ dump
dd(data dumper) : 파티션이나 디스크 단위로 백업할 때 사용하는 유틸리티.
cpio(copy input to output) : 장치파일이나 네트워크 파일 등의 특수 파일도 백업 가능. 백업본 크기 작음. 백업본에 손상된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복구. 증분백업 지원 X
rsync(remote syncronous) : 네트워크로 연결된 원격지 파일 동기화 유틸리티.
60. 다음 중 rsync 명령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rcp(remote copy)에 비해 처리속도가 빠르다.
② 내부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전송기간을 줄인다.
③ ssh을 이용하여 전송 가능하나 root 권한이 필요하다.
④ 링크된 파일도 복사 가능하고 소유권도 유지 하여 복사할 수 있다.
정답 : ③ ssh을 이용하여 전송 가능하나 root 권한이 필요하다.
root 권한 필요하지 않음.
'자격증 > 리눅스마스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마스터/필기] 2002회 리눅스마스터 1급 1차 기출문제 풀기 (3과목) (0) | 2021.03.02 |
---|---|
[리눅스마스터/필기] 2002회 리눅스마스터 1급 1차 기출문제 풀기 (1과목) (0) | 2021.02.18 |
[리눅스마스터] 2021 리눅스마스터 1급 시험정보 (0) | 2021.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