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리눅스마스터

[리눅스마스터/필기] 2002회 리눅스마스터 1급 1차 기출문제 풀기 (1과목)

ellyee 2021. 2. 18. 23:11

공부하는 방법은 사람따라 천차만별인데,

나의 경우 문제를 먼저 풀면서 해당 내용을 본 후 어느정도 내용이 머리에 기록되기 시작하면 문제만 풀고,

오답이나 헷갈리는 문제 내용만 다시 정리하는 방식.

 

기출문제는 KAIT 홈페이지 문제공개 참고. 


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라이선스로 알맞은 것은?

공개 소프트웨어 중의 하나를 선택해서 상업용 제품을 만들려고 한다. 수정된 소스코드에 대한 공개나 어떠한 표시도 하지 않으려고 한다.

① GPL

② MPL

③ BSD

④ LGPL

더보기

정답 : ③ BSD

- GPL : 자유소프트웨어 재단답게 가장 강역한 제약 조건을 포함하고 있는 카피레프트 조항. 어떤 목적, 어떤 형태로든 사용 가능하지만 사용하거나 변경된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경우 해당 소프트웨어의 전체 소스코드 공개해야 함. 

- MPL : 특징은 소스코드와 실행파일의 저작권 분리. 수정한 소스코드는 MPL로 공개, 실행파일은 독점 라이선스로 배포가능. MPL과 무관하게 작성된 소스코드는 공개할 필요 없음.

- BSD : 저작권 및 라이선스 명시 이외에 다른 제약은 없음. 공공기관에서 만든 것이므로 공공의 몫으로 돌려주자는 의미가 강한 라이선스.

- LGPL : GPL의 카피레프트 조항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라이선스. 라이브러리로만 사용하는 경우 소스코드 공개 의무 없음.

참고 ▶ 오픈소스 라이센스 정리(GPL, LGPL, BSD, Apache, MIT, MPL, Eclipse)

 

2. 다음 중 나머지 셋과 다른 종류에 속하는 리눅스 배포판으로 알맞은 것은?

① Ubuntu

② Linux Mint

③ Elementary OS

④ Vector Linux

더보기

정답 : ④ Vector Linux

- 데비안 계열(Debian) : Ubuntu, Linux Mint, Elementary OS

- 슬랙웨어 계열(Slackware) : Vector Linux

참고 ▶ 리눅스 OS 배포판 종류와 역사, 특징, 목적, 추천 등 (우분투, 데비안, 페도라, CentOS, 레드햇, 슬랙웨어 등)

 

3. 다음 중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로 틀린 것은?

① Tizen

② webOS

③ QNX

④ GENIVI

더보기

정답 : ③ QNX

- Tizen : 리눅스재단, 리모재단, 삼성전자, 인텔이 공동으로 개발한 오픈소스 모바일 운영체제. 리눅스 커널 기반.

- webOS : 리눅스 커널에서 구동되는 모바일 운영체제.

- QNX : 유닉스 계열의 서버 운영 체제.

- GENIVI : 공개형 리눅스 기반의 표준화된 IVI 플랫폼을 만들기위해 설립된 조직. 

 

 

4.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클러스터링 기법으로 알맞은 것은?

① 고계산용 클러스터

② 부하분산 클러스터

③ 고가용성 클러스터

④ 베어울프 클러스터

더보기

정답 : ③ 고가용성 클러스터

참고 ▶ 리눅스 클러스터 개념 및 종류(HPC, LVS, HA)

 

5. 다음 중 유닉스(UNIX)를 개발한 인물로 알맞은 것은?

① 리누스 토발즈

② 켄 톰슨

③ 빌 조이

④ 리처드 스톨먼

더보기

정답 : ② 켄 톰슨

- 리누스 토발즈 : 리눅스 커널 및 깃 최초 개발자.

- 빌 조이 : BSD 유닉스 개발.

- 리처드 스톨먼 :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중심 인물. GNU 프로젝트와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의 설립자.

 

6. 다음은 grub.conf 파일의 일부이다. 관련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defalut=1
timeout=100

① 10초 동안 대기한 후에 메뉴 선택이 없으면 첫 번째 항목의 운영체제로 부팅한다.

② 100초 동안 대기한 후에 메뉴 선택이 없으면 첫 번째 항목의 운영체제로 부팅한다.

③ 10초 동안 대기한 후에 메뉴 선택이 없으면 두 번째 항목의 운영체제로 부팅한다.

④ 100초 동안 대기한 후에 메뉴 선택이 없으면 두 번째 항목의 운영체제로 부팅한다.

더보기

정답 : ④ 100초 동안 대기한 후에 메뉴 선택이 없으면 두 번째 항목의 운영체제로 부팅한다.

default [메뉴 번호]

- GRUB 초기 부팅화면에서 부팅할 메뉴를 선택하지 않았을 경우 사용할 기본 부팅 메뉴. 

- 첫 번째 부팅 메뉴가 0번이고 두 번째 부팅메뉴가 1번 순서

timeout [부팅 시간]

- timeout에 지정된 시간(초)에 default에 지정된 부팅 메뉴를 실행

참고 ▶ 리눅스 grub.conf

 

7. 다음 그림의 명령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① mv 명령의 사용법 오류로 인해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

② mv 명령의 사용법 오류로 인해 오류 메시지 및 OK가 화면에 출력된다.

③ joon.txt는 lin.txt로 이름이 변경되고 화면에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는다.

④ joon.txt는 lin.txt로 이름이 변경되고 화면에 OK라고 출력된다.

더보기

정답 : ③ joon.txt는 lin.txt로 이름이 변경되고 화면에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는다.

더블 버티컬바(||) :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실행하고, 명령실행에 성공하면 뒤에 오는 명령을 실행하지 않음.

참고 ▶ 리눅스 명령어 연습사이트

 

8. 다음 중 X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X 서버로 전송 하기 변경해야할 환경 변수로 알맞은 것은?

① TERM

② XTERM

③ DISPLAY

④ TERMINAL

더보기

정답 : ③ DISPLAY

X윈도는 X서버와 X클라이언트가 독립적으로 동자가는 네트워크 지향 시스템. 따라서 원격지의 X클라이언트를 다른 시스템의 X서버에서 실행가능. 이를 위해 X서버에서 원격지의 X클라이언트가 실행될 수 있도록 허가해야 함.

이 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xhost이고, 클라이언트에서는 환경변수 DISPLAY를 수정해야 함.

참고 ▶ X 윈도 활용 : 원격지에서 X클라이언트 이용

 

9. 6개의 하드디스크로 RAID를 구성하려고 한다. 1개는 여분(spare) 디스크로 구성하고, 나머지 디스크로 RAID-5을 구성했을 경우에 실제 사용 가능한 디스크의 비율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33.3%

② 50%

③ 66.7%

④ 83.3%

더보기

정답 : ③ 66.7%

????????어케구하누..
참고 ▶ 

 

10. 다음 중 번호값이 가장 큰 시그널(signal)로 알맞은 것은?

① SIGTERM

② SIGINT

③ SIGTSTP

④ SIGQUIT

더보기

정답 : ③ SIGTSTP

15) SIGTERM : Terminate의 약자. 가능한 정상 종료시키는 시그널. kill 명령의 기본 시그널.

2) SIGINT : 키보드로부터 오는 인터럽트 시그널로 실행 중지. [Ctrl]+[c] 입력 시 보내지는 시그널.

20) SIGTSTP : 실행 정지 후 다시 실행을 계속하기 위해 대기시키는 시그널. [Ctrl]+[z] 입력 시 보내지는 시그널. SIGCONT로 다시 실행 가능.

3) SIGQUIT : 키보드로부터 오는 실행 중지 시그널. [Ctrl]+[\] 입력 시 보내지는 시그널. 기본적으로 프로세스를 종료시킨 뒤 코어를 덤프하는 역할.
참고 ▶ [리눅스/유닉스] 시그널이란? 시그널(SIGNAL) 종류, 상황, 유사 시그널 차이점

 

1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로 알맞은 것은?

보통 부팅 시에 실행되어 해당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계속 상주하면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방식 이다. 웹, 메일 등과 같이 빈번한 요청이 들어오는 서비스인 경우에 이 방식으로 동작한다.

① exec

② inetd

③ xinetd

④ standalone

더보기

정답 : ④ standalone

- exec : 프로그램 실행 함수(?)

- inetd : telnet, ftp, pop 서비스와 같은 빈번한 요구가 발생하지 않거나, 일단 요청을 받아들이면 꽤 오랜시간 작업을 수행하는 서비스에 적합.

- xinetd : 유저가 설정한 포트들에 대기하고 있다가 클라이언트가 연결하면, 연결 소켓을 외부 프로그램에 넘겨서 처리하는 데몬 프로그램.
참고 ▶ xinetd 기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12. 다음 중 포어그라운드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전환할 때 사용하는 키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① [Ctrl]+[c]

② [Ctrl]+[d]

③ [Ctrl]+[z]

④ [Ctrl]+[\]

더보기

정답 : ③ [Ctrl]+[z]

[Ctrl]+[c] : 현재 프로세스 끝내기

[Ctrl]+[d] : 로그아웃

[Ctrl]+[z] : 현재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로 실행

[Ctrl]+[\] : ???? 뭐하는 명령어일까.
참고 ▶ [리눅스] 우분투 단축키 및 명령어 모음

 

13. 다음 중 장치 파일명의 종류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① IDE 디스크

② SCSI 디스크

③ S-ATA 디스크

④ SSD(Solid State Drive)

더보기

정답 : ① IDE 디스크

/dev/hdx : IDE, ATA

/dev/sdx : S-ATA, USB메모리, SSD, SCSI 
참고  Chap02 리눅스의 설치

리눅스 특수 파일과 장치

 

1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로 알맞은 것은?

런 레벨 5로 부팅할 경우에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요청 하고 유효한 값이 입력되면 세션을 시작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① 데스크톱 환경

② 윈도 매니저

③ 디스플레이 매니저

④ X 프로토콜

더보기

정답 : ③ 디스플레이 매니저

- 데스크톱 환경 : 그래피컬 컴퓨팅에서 G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스타일.

- 윈도 매니저 : GUI환경에서 데스크톱 상의 각 윈도를 관리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 X 프로토콜 :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통신되는 Request, Reply, Event, Error의 기본 메시지.

참고 ▶ [Linux/Unix] X 윈도 시스템을 이루는 4가지 요소

리눅스 X윈도와 데스크톱 환경

 

15. 다음 바로 직전에 수행한 명령을 재실행할 때 사용할 때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① !0

② !1

③ !!

④ history -1

더보기

정답 : ③ !!

!n : 히스토리 목록에서 n번에 해당하는 명령 실행

history -1 : ??
참고 ▶ 리눅스 history - 명령 히스토리 활용

 

1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서브넷마스크값의 네트워크 접두어로 알맞은 것은?

C클래스에 속하는 하나의 네트워크 주소 대역을 할당 받았다. 이 주소 대역을 2개의 네트워크로 나누면 총 사용가능한 전체 호스트의 개수는 252개가 된다.

① /24

② /25

③ /26

④ /27

더보기

정답 : ② /25

아직 이해를 못했어요....

참고 ▶ IP주소 A,B,C클래스 및 서브넷에 대한 이해

 

17. 다음 중 netstat 의 State 결과값이 ESTABLISHED 일 때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① 3 Way-Handshaking이 완료된 후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연결된 상태

②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들어오는 패킷을 위해 소켓을 열고 기다리는 상태

③ 로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원격 호스트에 연결을 요청한 상태

④ 원격 호스트가 종료되고 소켓도 닫힌 상태에서 마지막 ACK패킷을 기다리는 상태

더보기

정답 : ① 3 Way-Handshaking이 완료된 후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연결된 상태

- LISTEN :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들어오는 패킷을 위해 소켓을 열고 기다리는 상태

- SYS-SENT : 로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원격 호스트에 연결을 요청한 상태

- LAST-ACK : 원격 호스트가 종료되고 소켓도 닫힌 상태에서 마지막 ACK패킷을 기다리는 상태

참고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18. 다음 중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 하드웨어 장치명과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① lo : 로컬 루프백(Local Loopback)을 나타내는 장치로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인터페이스

② enpx : CentOS 6 이전 버전에서 사용되었던 이더넷 카드 인터페이스 장치

③ pppx : 패러럴 케이블을 사용하는 패러럴 라인 인터페이스 장치

④ docker0 : 경량화된 서버 가상화 기술인 Docker를 사용할 경우 설정되는 네트워크 장치

더보기

정답 : ④ docker0 : 경량화된 서버 가상화 기술인 Docker를 사용할 경우 설정되는 네트워크 장치

- lo : 루프백 인터페이스. 자기 자신과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가상 장치.

- enp :  CentOS 7 이상 버전 이더넷 인터페이스. ( 7 이전은 eth)

- ppp : point to point 인터페이스. 모뎀에 이용.

- plip : 페러렐라인 인터페이스.

 

1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OSI 7 계층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이 계층은 데이터를 패킷(packet)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 하며 데이터 전송과 경로 선택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 한다. 이 계층은 패킷을 최종 수신 측까지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경로를 담당한다. 즉 송신호스트에서 전송한 데이터가 수신호스트에 도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중개 시스템을 거치는데, 올바른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① 데이터링크 계층

② 네트워크 계층

③ 전송 계층

④ 세션 계층

더보기

정답 : ② 네트워크 계층

참고 ▶ [네트워크 network] OSI 7계층 모델 완벽 이해

 

20. 다음에서 설명하는 장치의 이름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 OSI 모델의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
- 자신과 연결된 네트워크 및 호스트 정보를 유지하고 관리해야 하며, 어떤 경로를 이용해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장치

① Router

② Bridge

③ Gateway

④ Repeater

더보기

정답 : ① Router

- Bridge : 두 개의 근거리통신망(LAN)을 서로 연결해주는 통신망 연결 장치.

- Gateway : 2개 이상의 다른 종류 또는 같은 종류의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여 통신망 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하는 기능 단위 또는 장치. 프로토콜이 다른 복수의 통신망 간에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정보를 주고받음.

- Repeater : 전송 거리가 멀어 신호가 감소될 때, 전송신호를 증폭시켜 전송하는 역할.
참고 ▶ Repeater, Brdge, Router, Gateway 에 대해 조사